이번 기수 등록 마감까지 남은 시간은?

DAY

:
:
수강 신청하기
로그인

|

내 강의실

|

마이페이지

그린채널

공지사항 게시글 보기 : 번호, 제목, 조회수, 작성일 등 정보제공
디자인, 사회에 개입하다 조회수 15914

비즈니스를 떠나 사회의 일원이자 주체로서, 디자인을 통해 제 목소리를 내는 디자이너들이 있다. 자신의 신념과 노선을 지키며 사회 발언을 지속했던 국내외 디자이너의 사례를 살펴본다. 그들은 과연 디자인을 통해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것일까?

취재 | 이상현 기자 (shlee@jungle.co.kr)




디자이너는 생래적으로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서 종속적 위치에 처한다. 클라이언트의 수주로부터 일을 얻고 부역하는 이유다. 냉정하게 말하면, 디자이너는 결국 이윤추구라는 자본의 목적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뿐인 것이다. 결국 더 많은 수요를 창출하라는 지상 과제를 이루기 위해 재능을 소진해왔던 디자이너는, 제 작업물이 사회의 어디에 놓이며 어떻게 유통되는지, 그 책임에 대한 반성의 시간을 갖지 못했다. 그러는 동안 “디자인은 분명 우리를 당대 소비주의 시스템으로 몰아넣는 핵심적인 작인에 불과한 것(할 포스터)”이라는 오명을 얻게 됐다.

‘소비 자본주의의 시녀’, ‘돈 버는 감성’ 등 디자인을 향한 비판을 인식하고, 디자이너 스스로 그 환부에 매스를 들이대는 역사적 움직임은 가장 먼저 1960년대 영국의 그래픽 디자이너들로부터 시작됐다. 켄 갈런드 외 이십 여명의 디자이너가 “디자이너의 재능을 가치 있는 목적에 사용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으로 발표한 ‘중요한 것 먼저(First Thing First)’ 선언은 세기를 넘어 2000년대, 캐나다 밴쿠버의 문화 네트워크 ‘애드버스터스(Adbusters)’에까지 이어지면서 세계 각지의 많은 디자이너들의 호응과 참여를 유도해왔다. ‘디자이너의 역할이 과연 상품을 잘 팔기 위해 소비자들을 유혹하는 일에 머물러야 하는가?’라는 의문에서 출발한 애드버스터스의 운동은 현재 소비 자본주의가 팽배한 문화 전반에 대한 비판으로 그 영역을 확장시켜가고 있다.


제임스 빅토레, 토머스 매슈스, 피에르 베르나르 등 애드버스터스를 근간으로 ‘문화 훼방꾼’을 자처하며 디자인을 저항의 도구로 작동시키는 디자이너 가운데 2004년 국내 개인전시를 통해 이름을 알린, ‘영국 젊은이들이 가장 사랑하는 디자이너’라는 수식이 빛나는 조나단 반브룩(Jonathan Barnbrook)의 행보가 유독 돋보인다. 센트럴세인트마틴과 왕립예술대학원을 졸업하고 안정된 상업 디자이너의 길에 접어드는 대신, 그는 “디자인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낡은 믿음을 그간 디자인을 통해 떳떳하게 드러내왔다.

특히 광고주가 가히 신(神)인 세상에서, 코카콜라 등 글로벌 기업의 광고 제의를 단칼에 거절한 일로 유명세를 타기도 했던 반브룩은 사회 기반시설의 사유화, 미국의 신제국주의, 제3세계 국가의 노동력을 착취하는 강대국들의 현지공장, 북한과 팔레스타인 문제 등 당대의 가장 첨예한 문제를 건드리며 여론의 도화선에 불을 붙인다. 맨슨, 엑소셋 등 서체디자인을 통해 독특하고 세련된 감각을 자랑하는 그래픽 디자이너답게 그는 기업 광고의 슬로건과 로고를 패러디‧풍자, 아이러니와 위트를 자아내고 이를 통해 해당 사안을 통렬하게 비꼬면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론으로 유명하다. 그는 “정말 좋은 디자인은 단단한 신념에서 흘러나와 제품 속에, 사회 속에 녹아 드는 것”이라고 말한다.

역사적으로 국내 디자이너의 사회적 발언 사례는 드물다. 물론 수면 위에 드러나지 않았을 뿐 개개인의 활동이 아예 없지는 않을 터. 중요한 점은, 애드버스터스와 같은 공론의 광장과 조직적 움직임이 전무하다는 사실이다. 80년대에서부터 90년대 중반까지 이어진 ‘민중미술운동’이 사회문제를 캔버스에 담아내며 굵은 목소리를 돋우었던 반면, 디자인계의 이렇다 할 활동을 감지하기란 어렵다.

지각 있는 디자인 이론가들에 의해 90년대 중‧후반 본격적으로 디자인 담론화가 형성되기 시작되면서, 그 반성적 목소리를 담아냈던 이래, 디자이너와 사회 관계에 대한 본격적인 물음을 제시한 사례로는 일련의 전시를 들 수 있다. 교과서와 주민등록증, 거리 상점과 선거 포스터 등 권위적이고 부조리한 것들을 현장 디자이너의 손으로 다시 디자인해 제시했던 ‘de-sign Korea : 디자인의 공공성에 대한 상상’ 전, 소비 제품, 생활용품, 가구 및 일상 생활공간, 도구들, 패션 등을 대상으로 무의식적인 행동 양식과 생활의 패턴 속에 스며들어 있는 정치의 영역을 건드렸던 ‘정치 디자인, 디자인의 정치’ 전, 그리고 90년대 후반부터 지속적으로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정치적 목소리를 내면서 그에 걸맞은 디자인 형식을 적극적으로 창안하고 구성하고자 노력해온 그래픽 디자인 회사 AGI 소사이어티의 회고성 기획전시였던 ‘상상, 행동’ 展 등이 문제의식을 대두했던 것이다.

결국 단발적으로나마 지속되었던 관련 전시들은 디자인에 대한 사회의 그릇된 인식을 재고하고, 디자인계 내부의 성찰을 작게나마 도모할 수 있었다고 평가된다. 정치적 활동 여부를 떠나 이러한 자기 성찰은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할 때 ‘과연 이것이 사회적인 해를 끼치지는 않는가’라고 한번쯤 생각해볼 여지를 마련하는 것이었다.


근래에 들어서는 새로운 디자이너 세대의 달라진 사회 참여가 유독 눈에 띈다. 디자인 낮잠의 문승영, AGI의 김영철과 같이 시민단체나 비영리조직과의 지속적인 연대를 통해 정치적 노선을 지켜왔던 386 디자이너 세대와 달리, 이 젊은 친구들은 이데올로기와는 거리를 두고 시민 사회의 일원으로서 목소리를 낸다. 변화되는 디자이너의 사회적 위상이 빚은 결과인 것이다.

좌절금지 등 각종 금지 시리즈의 소품으로 유명한 닭똥집 디자인의 쓰바양(장윤미)은 ‘반전’ 메시지를 제품에 녹인다. 쌈지의 디자이너로 재직했던 그녀는 ‘내가 지금 여기서 뭘 하는 것일까?’라는 근본적인 질문으로부터 기계적이고 수동적인 삶을 거부하고 주체적인 삶을 살아야겠다는 의지로, 제품에 자신의 ‘생각’을 담게 됐다고 한다. 최근 쓰바양은 진보적 정치 포럼 ‘Marxism 2008 London’이 주최하는 'Left in Vision' 전시회에 참가, 그녀의 사회발언 메시지를 담은 제품을 선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그녀는 “나는 운동권이 아니다”라고 방점을 찍는다. 명품 소비 풍토를 비꼬는 ‘Fake Bag’을 제작한 박진우, 촛불 시위에 사용하기 적합한 영구용 촛불 ‘Cup of Light’를 디자인한 Sdesignunit 역시 보다 유연하고 유쾌해진 방법을 사용한 디자이너의 사회 참여 사례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도서 <애드버스터스, 상업주의에 갇힌 문화를 전복하라>(현실문화연구), <정치 디자인, 디자인의 정치>(청어람), <상상, 행동>(AGIBOOKS),


대학 시절, 김영철은 친구들과 함께 ‘데모’에 나섰다가 경찰에 붙들린 적이 있었다. 고압적인 태도를 일관했던 경찰은 취조 과정에서 그가 디자인 전공자라는 사실을 알고는 스스럼없이 훈방 조치를 내렸다고 한다. 사회의 인식 속에, 디자이너는 정치와 무관한 사람

사업자등록번호 : 220-85-34964 | 통신판매업신고 : 2013-서울강남-01429호 | 대표이사 : 김상곤 |
주소 :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5길 24, 장연빌딩/ 3~7층 | TEL : 02-3481-1005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오종석 | E-mail : js0412@greenart.co.kr

1:1친절상담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IT· 디자인 교육 부문 1위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교육사회공헌 부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상

대한민국 교육대상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전문인력육성 부문 고용노동부장관상

고객신뢰도 1위 프리미엄 브랜드디자인·IT 취업교육 부문 대상

국가브랜드 대상디자인·IT 교육 최우수 브랜드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대상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소비자추천 1위 브랜드 대상디자인·IT 교육 부문 1위

대한민국브랜드평가 1위디자인·IT 교육 브랜드 1위